반응형
신뢰감 대 불신감 | 0~1세 (영아기), 프로이트의 구강기 모든것을 엄마에게 의존하는 시기 |
신뢰감: 엄마가 일관성있게 영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준다. 영아가 배가 고플때 즉시 젖을 준다. | |
불신감( 타인을 믿지 못하는 마음 ): 엄마가 영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다. |
자율성 대 수치심 & 의심(회의감) | 1~3세 (유아기), 프로이트의 항문기 항문 괄약근과 요도 괄약근을 수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되는 시기. 대소변 훈련은 18개월 경 걷기 시작한 후 이루어진다. |
자율성: 대변과 소변을 볼껀지 참을껀지 스스로 선택함. 배변을 통해 태어나처음으로 자율성을 느끼게 됨. | |
(1) 수치심 (스스로를 부끄러워 함) 부모가 자신에게 창피를 주었을때 " (몹시 불쾌한 표정으로) 아이고!! 냄새야....몇살인데 아직도 오줌을 못가리냐... 에휴...." (2) 의심 (자신의 능력에 대한 의심) - 부모의 과잉통제 " 딸아 자기 전에 오줌싸고 와 " "엄마 나 오줌 안마려운데..." "(화를 내며) 안돼 싸고 와!" - 자신의 선택이 말썽을 일으켰을 때 |
주도성 & 솔선감 대 죄책감 | 4~6세 (유아기, 학령전기), 프로이트의 남근기 초자아(도덕성)이 형성되는 시기 |
주도성 : 자율성이 증가함. 목표 지향적 행동을 시작함. 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세우고 실행함. 자기가 뭔가를 해보려고 함. 자기가 뭔갈 함으로써 인정받고싶어 함. 솔선감: " 내가 할래! ",,,, " (엄마가 요리할 때) 내가 칼로 잘라 볼래! " |
|
죄책감: 자기의 행동이 말썽을 일으켰을 때 부모가 지나치게 처벌하고 비난함. 자기가 뭔가를 해보려고 시도했던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느낌. |
근면성 대 열등감 | 7세~12세 (학령기), 프로이트의 잠복기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게 됨. |
근면성: 나는 좋은 친구가 많이 있어 나는 공부를 잘 하는 편이야 선생님은 나를 믿고 인정해주셔 (근면성: 부지런히 임무를 행할 '근', 부지런히 일할 '면') |
|
열등감: 나는 못생겼어 나는 공부를 못해 나는 친구를 잘 사귀지 못해 |
정체감 대 역할혼돈 | 13세~ 18세 (청소년기), 프로이트의 생식기 "나는 누구인가?" |
정체감: -나의 장단점은?, 나의 꿈은?, 내가 좋아하는 것은?, 내가 잘하는 것은?, 내가 원하는 것은? -이상한 머리모양이나 옷차림을 한 청소년들은 자신의 개성을 찾으려는 의지 -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신경 씀. |
|
역할혼돈: 내가 누구인지 모르겠고, 나는 어떤 일을 하며 살아갈 것인가 등에 대한 생각이 없는 상태. |
친밀감 대 고립감 | 19세~40세 (청년기) |
친밀감: 새롭고 다양한 인간관계를 가진다. 타인을 사랑하고 돌보아주는 능력을 가진다. 자신을 이해하고, 타인을 이해하고, 바라는 것 없이 베풀어줄 수 있는 마음. |
|
고립감: 은둔형 외톨이 |
생산성 대 침체감 | 41세~64세 (중년기) |
생산성: 직업적으로 성공. 자녀 양육 잘함. 다음 세대를 위해 더 나은 사회를 만듦 | |
침체감: 직업적 능력면에서 발전 없음. 이기적임. |
통합 대 절망 | 65세 이후, 노년기 |
통합: 내 인생을 돌아보니 좋은날도 기쁜날도 많았다. 함께 살아준 배우자에게 고맙다. 아들 딸 잘커서 걱정이 없고 이제는 죽어도 여한이 없구나... | |
절망: 내 인생을 돌아보니 외롭고 슬프다. 후회된다. 결혼을 잘못했다. 이제 죽을날만 남았구나... |
반응형
'간호학 > 아동간호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피아제(Piaget)의 인지발달이론 (1) | 2020.12.09 |
---|---|
아동의 성격 발달 - 프로이드(Freud) 심리적 성 발달 (0) | 2020.12.08 |
성장과 발달(Scammon의 발달곡선 등) (0) | 2020.12.08 |